본문 바로가기
교육 이론

브레인라이팅(Brainwriting) 기법이란?

by 앱솔루트 2022. 12. 6.
반응형

 

 

 

앞선 포스팅에서 창의적 사고기법 중 브레인스토밍(brainstorming) 기법과 스캠퍼(SCAMPER) 기법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 살펴볼 창의적 사고기법은 브레인라이팅 기법입니다.

1. 브레인스토밍(brainstorming) 기법이란? & 브레인스토밍의 4원칙

2. 스캠퍼(SCAMPER) 기법이란? / 스캠퍼 설명 및 예시

 

"브레인라이팅 기법"이란?

 

브레인라이팅 기법은 많은 수의 구성원들로 이루어진 집단에서 아이디어를 창출하기 위한 기법 중 하나로, 자신의 입장을 말하기 꺼려하는 사람들의 아이디어도 취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브레인스토밍과는 달리 아이디어를 개인 각자가 개별적으로 창출해 종이에 기록하기 때문에, 지배적인 개인들의 영향이 줄어든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브레인스토밍과 같이 발언을 통해 아이디어를 모으는 경우, 참여자들은 무의식 중에 지배적인 개인(예를 들어 팀장, 부장)에 의견에 동조하거나, 지배적인 개인의 영향력 때문에 아이디어를 자유롭게 내기 쉽지 않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브레인 라이팅 기법 과정에서는 누가 어떤 아이디어를 냈는지 알지 못하기 때문에 조금 더 자신의 의견을 자유롭게 피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즉, 브레인라이팅 기법은 브레인스토밍 기법의 단점을 보완한 기법으로 생각하시면 되며, '침묵하는 브레인스토밍 기법', '6/3/5' 기법으로 불립니다.

 

반응형

 

한편, 브레인라이팅 기법은 침묵하는 브레인스토밍 기법이라고 하기도 합니다. 그 이유는 아이디어 산출이 침묵 속에서 진행되기 때문입니다. 브레인라이팅은 집단의 규모와 상관없이 진행됩니다. 대집단을 우선 4~6명(일반적으로 6명이 한 집단)으로 이루어진 소집단으로 나눕니다. 각 소집단 별 6명의 참가자는 각자 3개의 아이디어를 5분 내에 작성하고, 본인이 작성한 종이를 옆 참가자에게 전달합니다. 회의는 참가자들의 아이디어가 떨어질 때까지 계속 진행되며, 이 과정에서 앞서 아이디어를 제공한 참가자의 아이디어에 추가하거나 발전시켜 아이디어를 적어나가게 되므로 아이디어는 점차 구체화되고, 다양해지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6명 3개의 아이디어를 5분 이내에 용지에 작성하여 옆 사람에게 전달하기 때문에, 브레인라이팅 기법을 6/3/5 기법이라고도 합니다.

 

브레인라이팅 기법의 목적과 의미, 그리고 브레인라이팅 기법을 다른 말로 어떻게 부르는지, 왜 그런 이름을 갖게 됐는지를 생각하신다면 창의적 사고기법 중 하나인 브레인라이팅 기법에 대해 이해하시기 편하실 것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