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 이론

브레인스토밍(brainstorming) 기법이란? & 브레인스토밍의 4원칙

by 앱솔루트 2022. 12. 5.
반응형

 

 

1. 브레인스토밍 기법이란?

브레인스토밍(brainstorming method) 미국 광고 회사 부사장이던 알렉스 오스본(Alex Faickney Osborn)이 개발한 기법입니다.

이 기법의 핵심은 아이디어의 발상 및 창작 과정에서 ‘좋다’ 혹은 ‘나쁘다’ 같은 아이디어의 수준을 판단하지 않고 최대한 많은 아이디어를 얻는 것인데요. 영문 brainstorm에서 알 수 있듯, 어떤 생각이라도 자유롭게 말하는 ‘두뇌 폭풍’을 통해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창출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2. 알렉스 오스본에 대하여

알렉스 오스본(Alex Osborn, 1888∼1966)은 미국의 광고회사 비비디오(BBDO) 창립자의 한 사람입니다. 오스본과 오스본의 동료들은 1939년에 브레인스토밍 기법(brainstorming method) 기법을 창안했고 이를 그의 저서를 통해 널리 알렸습니다. 참고로, 브레인스토밍 기법은 아이디어들이 확산되며 눈덩이 뭉쳐지듯 연쇄적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눈 굴리기(snow bowling) 기법이라고도 합니다.

브레인스토밍 기법을 창안한 '알렉스 오스본'

 

 

3. 브레인스토밍의 4가지 규칙(4원칙)

 

오스본은 브레인스토밍 과정에서 참여자가 지켜야 할 네 가지 규칙을 제시했습니다.(Osborn, 1949).

 

첫째, 아이디어 비판 금지.

브레인스토밍에서는 타인의 아이디어를 절대 비판해서는 안 됩니다. 아무리 하찮은 아이디어라도 생각한 사람의 입장에서는 나름대로 이유가 있기 마련입니다. 아이디어 비판을 받으면 분위기에 짓눌려 더 이상 아이디어를 내지 않기도 하기 때문에, 창의적이고 다양한 아이디어를 위해서는 타인의 아이디어에 대한 비판을 해서는 안 됩니다.


둘째, 자유로운 발표.

브레인스토밍에서는 자신이 떠올린 아이디어가 하찮아 보이더라도 망설이지 말고 발표해야 합니다. 평가받는 두려움은 누구에게나 있습니다. 하지만, 하찮은 아이디어라도 다른 사람에게 영감을 주어 놀라운 아이디어로 발전될 수 있다고 생각하여 자신이 생각한 것을 적극적으로 발표해야 합니다.

셋째, 다량의 아이디어 창출.

브레인스토밍에서는 아이디어의 질보다 아이디어의 개수가 중요합니다.

 

한 연구에서는 대안의 숫자가 많을수록 좋지만 8∼15개를 요구할 때가 가장 안정적이며 1인당 25개를 요구할 때는 효과가 반감된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Bergh, Reid, & Schorin, 1983).

 

넷째, 아이디어의 확장.

브레인스토밍에서는 기존의 아이디어를 결합해 새로운 아이디어가 나오도록 해야 합니다. 아이디어란 낡은 요소들의 새로운 결합이듯이(Young, 1975), 처음에는 전혀 관계없어 보이는 개별 아이디어들이 이유 있는 기준에 따라 합쳐지면 엄청난 아이디어로 다시 태어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기존의 아이디어를 다각도로 검토해 새로운 의미로 확장하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4. 브레인스토밍의 한계점

 

브레인스토밍 발상법의 한계점엔 여러 가지가 있는데, 대표적인 한계점 4가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남의 아이디어를 듣고 있는 동안 아이디어 발상이 막히게 되는 창출 저지(production blocking)

둘째, 자신의 아이디어는 내지 않고 다른 사람들 틈에서 적당히 얹혀가는 무임승차(free riding)

셋째, 자신의 아이디어를 남들 앞에서 평가받아야 하는 심리적 두려움(evaluation apprehension)

넷째, 아이디어가 뛰어난 몇 사람이 전체 분위기를 지배함으로써 다른 사람은 아이디어를 낼 엄두조차 내기 어렵게 하는 소수에 의한 지배

 

하지만 조직의 리더와 구성원이 합심하여 이러한 한계점을 잘 극복한다면, 브레인스토밍은 창의적인 아이디어 발상에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반응형

댓글